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공통 과목인 '수학'과 선택 과목으로 구성된다. '수학'은 1학년에서 배우는 과목으로, 다항식, 방정식,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 집합, 명제, 함수, 경우의 수 등을 다룬다. 선택 과목은 '수학 I', '수학 II',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경제수학', '실용수학', '수학과제 탐구' 등으로 나뉘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공통 과목 외에 선택 과목 중 1개를 택하여 응시한다.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수학', '수학 I', '수학 II', '미적분과 통계 기본', '확률과 통계', '기하와 벡터' 등의 과목이 운영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따른다. 이 교육과정은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배우는 공통 과목과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선택하는 선택 과목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이전에도 여러 차례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은 변화를 거듭해왔다. 대표적으로 제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등이 있으며, 각 시기별 교육 목표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교과목의 구성과 내용에 차이를 보였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이전 교육과정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룬다.
2. 현행 교육과정
2. 1.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도입되었다. 이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배우는 공통 과목을 도입하고, 학생의 진로나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는 선택 과목 체제를 구축한 점이다.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각 과목의 구체적인 내용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범위는 해당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2. 1. 1. 수학 (공통 과목)
고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 배우는 공통 과목이다.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 집합과 명제, 함수, 경우의 수를 다룬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2. 1. 2. 수학 I (선택 과목)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삼각함수, 수열을 다룬다.
2. 1. 3. 수학 II (선택 과목)
2. 1. 4. 미적분 (선택 과목)
미적분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수학 선택 과목 중 하나이다. 주로 자연계열 학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선택한다.
이 과목에서는 수학II에서 배운 다항함수의 미분법과 적분법을 바탕으로, 수열의 극한 개념을 배우고 이를 급수로 확장한다. 또한,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와 같은 초월함수의 극한과 미분법, 적분법을 심도 있게 학습한다.
주요 학습 내용은 다음과 같다.2. 1. 5. 확률과 통계 (선택 과목)
이 과목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수학 선택 과목 중 하나이다. 주요 학습 내용은 순열과 조합, 확률, 그리고 통계적 추정이다.
2. 1. 6. 기하 (선택 과목)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 선택 과목이다. 주요 학습 내용은 이차곡선, 평면벡터, 공간도형, 공간좌표 등이다. 특히 평면과 공간에 대한 관찰과 표현 방법을 다룬다.
2. 1. 7. 경제수학 (선택 과목)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경제수학' 과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2. 1. 8. 실용수학 (선택 과목)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2. 1. 9. 수학과제 탐구 (선택 과목)
'수학과제 탐구'는 학생들이 스스로 수학 과제를 선정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 방법을 익히고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과목이다.
2. 1. 10.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출제 범위
2. 1. 11.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출제 범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기존의 수학 가형/나형 구분이 폐지되었다. 모든 수험생은 공통과목으로 수학Ⅰ과 수학Ⅱ를 응시해야 하며, 선택과목으로 기하, 미적분, 확률과 통계 세 과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응시한다.
3. 이전 교육과정
3. 1. 2009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수준별 맞춤형 교육을 강조하였다.
3. 1. 1. 기초 수학
중학교의 수학 내용을 복습하고 고등학교 수학 학습의 기초를 다지는 과목이다. 주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기초 과목으로 다루며,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정규 교육과정으로 편성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기초 교육반 형태로 운영되기도 한다.
주요 학습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원 | 주요 내용 |
---|---|
수와 식의 계산 | 수 체계와 그 연산, 다항식의 계산, 인수분해 |
방정식과 함수 | 함수, 일차함수와 그 연산, 이차함수와 그 연산 |
피타고라스 정리와 삼각비 | 피타고라스 정리, 삼각비와 그 활용 |
3. 1. 2. 수학 Ⅰ
III. 식의 계산[1]II. 실수와 복소수[2]
IV. 방정식과 부등식
I. 도형의 방정식